메인 콘텐츠로 이동하기
  1. 심리학/
  2. 심리학의 이해/

심리학의 이해 시리즈 9: 사회심리학의 기초

··3 분

사회심리학이란? #

사회심리학(Social Psychology)은 사회적 상황에서 개인이 나타내는 행동과 심리적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. 타인이 있을 때 우리의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, 왜 달라지는지를 연구합니다.

사회지각 #

대인지각(Interpersonal Perception) #

우리는 다른 사람을 만날 때 상대방의 행동이나 외모에서 그 사람의 성격이나 내면을 추론합니다. 이것을 대인지각이라 합니다.

  • 대인지각은 주관적이고, 정확성에 대한 객관적 기준이 없습니다.
  •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판단이 쉽게 왜곡될 수 있습니다.

인상형성(Impression Formation) #

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형성되는 인상은 이후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
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서:

  • 얼굴 표정: 친근하거나 적대적인 느낌
  • 옷차림: 사회적 지위나 성격에 대한 단서
  • 행동: 제스처나 말투를 통해 성격을 추론

인상형성의 세 가지 주요 차원:

  • 평가적 차원: 좋다 vs. 나쁘다
  • 능력 차원: 강하다 vs. 약하다
  • 활동성 차원: 적극적 vs. 소극적

고정관념(Stereotype) #

외모, 혈액형 등 표면적 정보로부터 사람의 성격을 일반화하는 현상으로, 주의해야 합니다.

귀인(Attribution) #

귀인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원인을 설명하는 방식입니다.

  • 내부적 귀인: 성격, 능력, 노력 등 개인의 내부적 요인에 원인을 돌림
  • 외부적 귀인: 환경, 상황 등 외부적 요인에 원인을 돌림
  • 안정적 귀인: 잘 변하지 않는 지속적인 요인(성격, 지능 등)
  • 불안정적 귀인: 일시적이고 변화 가능한 요인(노력, 운 등)

귀인은 사회적 행동과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
일반적인 귀인의 오류들 #

  • 기본적 귀인 오류: 타인의 행동을 성격 탓으로 돌리는 경향
  • 삭감효과(Discounting Effect): 외부적 압력 때문에 행동이 일어났다고 믿고 내부적 요인을 무시하는 현상
  • 자아고양 편파(Self-serving Bias): 잘되면 자신의 능력 덕분, 안 되면 외부 환경 탓으로 돌리는 경향

사회행동과 도움행동 #

도움행동(Helping Behavior)은 자발적으로 타인을 돕는 행동을 의미합니다.

  • 제노비스 사건: 책임감이 분산될 때 도움행동이 줄어드는 현상
  • 사회적 책임감과 응보 규범: 사회적 책임감으로 인해 도움이 촉진됩니다.

사회영향 #

타인의 존재나 요구가 개인의 행동과 사고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.

  • 응종(Compliance): 부탁이나 요구에 따르는 행동
  • 복종(Obedience): 권위나 명령에 따르는 행동 (예: Milgram 실험)
  • 동조(Conformity): 주변 사람들이 하는 대로 행동이나 생각을 바꾸는 현상

집단역동(Group Dynamics) #

집단의 상호작용이 개인 행동과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.

  • 사회적 촉진: 집단 속에서 과제 수행 능력이 향상됨
  • 사회적 태만: 집단 내에서 개인의 책임이 불분명할 때 열심히 하지 않는 현상

집단의사결정 #

  • 집단극화(Group Polarization): 집단 토론 후 기존 견해가 더 극단적으로 강화되는 현상
  • 극단이행(Extremity Shift): 집단이 더 모험적이거나 보수적인 결정을 내리는 현상
  • 집단사고(Groupthink): 응집력이 강한 집단이 합리적 결정보다 만장일치에 더 신경 써서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현상

이러한 사회심리학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면 개인과 집단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동과 현상들을 잘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됩니다.